- 모음배우기
- 모음 ㅏ
- 모음 ㅓ
- 모음 ㅗ
- 모음 ㅜ
- 모음 ㅡ
- 모음 ㅣ
- 모음 ㅐ
- 모음 ㅔ
- 모음 ㅚ
- 모음 ㅟ
- 모음 ㅑ,ㅐ,ㅕ,ㅖ
- 모음 ㅛ,ㅘ,ㅙ,ㅠ,ㅝ,ㅞ,ㅢ
- 자음배우기
- 자음 ㄱ,ㅋ,ㄲ
- 자음 ㄴ,ㄷ,ㅌ,ㄸ
- 자음 ㄹ
- 자음 ㅁ,ㅂ,ㅍ,ㅃ
- 자음 ㅅ,ㅈ,ㅊ,ㅆ,ㅉ
- 자음 ㅇ,ㅎ
새로운 것을 배운다는 것이 어떤 사람에게는 높은 산을 오르는 것과 같이 큰 도전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책은 그러한 도전이 두려움과 실패감으로 채워지는 것이 아니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습니다. 그래서 학습자가 '학습 전, 학습 중, 학습 후' 단계에서 적절한 인지 자극을 통해 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정서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학습 전' 인지 자극 활동은 시지각 주의력, 단기 및 장기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주며, 자존감과 학습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학습 중' 한글 배우기 단계에서는 재미있고 다채로운 그림으로 시각적인 자극을 촉진하며, 듣기 자료를 제공해 청각 정보와 함께 학습할 수 있게 했습니다.
'학습 후' 정리 및 마무리 단계에서는 글자를 만들어 보는 활동을 통해 학습자가 사고를 확장하며 재구성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무엇보다도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단순히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한글의 창제 원리와 음운들의 연관성을 이해한 후 학습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할 수 있고 학습에 대한 흥미와 이해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모음과 자음이 소리나는 방법과 위치에 대해서도 그림으로 제시하고 설명해서 학습자들이 듣기에만 의존하지 않고 발음의 원리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한국의 중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되는 점으로 이후 학습자가 한국어 공부를 계속해 나갈 때 등대와 같은 역할을 할 것입니다.
또한 이 책은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한 원리에 따라 내용을 구성하고 배열했습니다. 한글은 특성상 모음이 있어야 발음할 수 있기 때문에 모음을 먼저 학습하도록 했는데 이는 학습자가 쉽고 빠르게 글자 읽기를 확장할 수 있게 합니다. ‘한글 배우기’ 부분의 내용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학습자가 모음과 자음이 만들어진 방법, 읽는 방법에 대해 이해하도록 제시했습니다. 그런 다음 그림을 보고 단어에서 모음과 자음을 읽고 찾아보며 음운을 인식하도록 했습니다. 끝으로 모음과 자음이 들어간 단어를 써 보고, 글자를 만들어 보는 활동을 하며 배운 내용을 정리하며 확장하도록 했습니다.
한글 배우기는 문해력의 기초를 쌓는 첫걸음으로써 모든 학습에서 중요한 주춧돌 역할을 합니다. 아이들은 영유아기 시절에 듣기와 말하기로 자연적으로 습득했던 한국어를 '언어의 황금기'에 이르러 글로 쓰며 논리적, 체계적으로 학습하게 됩니다. 이 시기에 학습자가 적절한 시각과 청각 자극을 받고, 입과 혀의 운동성 등 다양한 감각을 활용해 배우고, 유의미한 활동을 통해 체계화한다면 이는 학습자가 성장하면서 다양한 감각으로 무엇이든 유연하게 배울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중요한 시기에 긍정적인 학습 정서를 형성하고, 다양하고 유연한 방법으로 즐겁게 공부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임성락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심리학 학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 석사
(전)마음과 인지 상도점 부소장
인지날개 대표
Attention Builder starter, Level 1, Level2 저자
인지 상담 실행기능 워크북 공동저자
인지 실행기능 향상 처리속도 점프 UP 공동저자
인지 실행 기능 향상 프로젝트 작업기억 점프 UP 공동 저자
이유림
상명대학교 국어교육과 전공, 교육학 복수 전공 학사
중국 항저우 The University of Zhejiang 교육대학원 석사
초등학교 한국어 강사
중학교 기초학력 프로그램 강사
국어 전문 학원 강사